티스토리 뷰


5.18 민주화운동 

5.18 민주화운동 또는 광주 민주화운동은 광주시민들이 신군부를 장악한 전두환의 군사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지키키 위해 싸운 사건입니다.

발생시기 : 1980년 5월 18일 ~ 5월 27일

5.18 민주화운동은 '서울의 봄' 끝자락에 시작됩니다.
부산과 마산 등에서 부마항쟁이라 부르는 민주화운동이 계속되던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피살됩니다. 이를 계기로 국민들의 민주화의 대한 열망이 한껏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12.12 군사 구테타
그리고 얼마 후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나고 전두환을 중심으로 구성된 신군부가 군부를 장악하게 됩니다. 그러나 각 대학의 겨울방학과 연말이라는 시기적인 요인이 맞물려 군사 쿠테타에 대한 사실은 대중들에게 뒤늦게 알려지게 됩니다.

학생들의 시위
대학이 개학을 한 3월에서야 신군부의 군사반란과 안개정국에 대한 사실이 알려지게 되고, 이때부터 이를 규탄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생들의 시위가 전국적으로 퍼져나가게 됩니다.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
하지만 군부 내 주도권을 장악한 전두환의 신군부 세력은 민주화를 향한 학생들과 시민들의 열기를 무력으로 진압합니다. 신군부 세력은 북한이 남한을 침략할 징후가 보인다며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 선포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합니다. 

해산되버린 학생들
그리고 시위를 주도한 주요 학생들을 기습적으로 체포하고, 그들에게서 다음 집결지를 알아내 그곳에 미리 공수부대를 배치합니다. 서울역이나 영등포역 등 집결지에 모인 학생들은 공수부대가 나타나자 버티지 못하고 그대로 해산되고 맙니다. 

그리고 운명의 5월 18일 아침 광주
마친가지로 공수부대가 미리 지키고 있던 전남대 정문에도 학생들이 모여듭니다. 그러나 전남대 학생들은 공수부대를 보고도 물러서지 않고 구호를 외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들을 해산시키려는 공수부대의 무자비한 진압이 시작됩니다. 이를 본 시민들은 계엄군의 만행에 분노하며 공수부대를 몰아내자며 저항에 나서게 됩니다. 

시민을 향한 계엄군의 집단 발포
5월 21일 오후 1시 저항하는 시민들에게 계엄군은 집단 발포를 시작합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고, 이에 시민들도 파출소 무기고를 부수고 무장을 갖춰 시민군이 됩니다. 그리고 21일 저녁 8시 시민군은 계엄군을 몰아내고 도청을 점령합니다. 

이후 시민들은 21일부터 26일까지 항쟁의 중심이 된 전남도청을 목숨 걸고 지켰습니다.

5월 27 시민군 최후의 저항
광주 외곽을 철저히 봉쇄한 계엄군은 5월 27일 새벽 4시경 전남도청 진입을 시작합니다. 
계엄군은 4시에 도청을 포위하고 4시 10분에 일제 사격이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시간여만에 상황이 종결됩니다. 
도청에 남아 있던 300여 명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으며 살아남은 사람들은 헌병대로 끌려갔습니다. 


▒ 당시 언론보도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를 제대로 보도한 국내 언론은 없었습니다. 
계엄군 수뇌부는 광주항쟁을 '고정간첨에 동조하는 불량배들이 벌인 책동'으로 규정하였고, 당시 광주는 계엄군에 의해 철저히 고립되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 시민들은 언론 보도를 받아드릴 수 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5.18 민주화운동의 진실은 독일에서 온 '푸른 눈의 목격자' 위르겐 힌츠페터의 취재 영상과 5.18 관련 단체 및 시민들의 끈질긴 진상규명운동 등을 통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입니다. 

 공식 명칭? 
공식 명칭은 '5.18 민주화운동'입니다.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위해 '저항하고 싸웠다'는 점에 의미를 둬 '5.18 민주항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일각에서 부르는 '광주사태'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사태'는 시위대의 폭력을 강조한 표현으로 전두환 신군부가 사건을 왜곡하고 은폐할 때 사용한 용어입니다. 

 유엔 유네스코 세계 기록문화 유산에 등재 
2011년 5월 25일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은 유엔 유네스코 세계 기록문화 유산에 등재됩니다.
유네스코에선 518 민주화운동을 민주주의와 인권의 전환점이며, 한국을 넘어 동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하였습니다.


포스팅을 마치며
"계엄군이 쳐들어오고 있습니다. 광주 시민 여러분, 우리를 잊지 말아 주십시오!"
1980년 5월 27일 새벽 전남도청에 남아 최후의 저항을 한 시민군의 마지막 목소리입니다. 

2001년 정부 발표에 의하면 5.18 민주항쟁 당시 사망자 수는 민간인 168명을 포함한 195명, 부상자는 4782명입니다. 

우리가 지금 자유를 누리며 살고 있는 이유는 4.19 혁명, 5.18 민주화운동, 6월 항쟁 등 민주주의를 위해 흘린 수많은 사람들이 피와 눈물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용기와 희생을 기억합니다. 

〈임을 위한 행진곡〉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 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동지는 간 데 없고 깃발만 나부껴
새 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깨어나서 외치는 뜨거운 함성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